Lora파일은 로딩하는 순간 모델에 포함이 되지만
그것을 불러올때 트리거워드가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쉽게 말해 고양이를 'cat'으로 학습한 모델에서 고양이를 등장시키고 싶을때
그 모델이 고양이만 있는 모델이면 지시어 없이 돌려도 고양이가 높은 확률로 나오겠지만
여러가지 학습자료(사람,개)들이 포함되어있을때 트리거없이 뽑으면 랜덤으로 나온다
그래서 'cat'이라는 학습당시 인지시킨 트리거를 적어줘야한다
일반적인 모델의 경우 그러한 트리거들이 대중적인 단어들이지만
로라의 경우 특수목적이기 때문에 트리거가 'ss1cat' 이런 것일 수가 있다
이유는 기존 모델이 학습한 단어를 덮어쓰지 않게 유니크한 것을 설정하기 때문이다
그말은 로라정보없이 로라만 딸랑 받은상태에서는 해당로라의 링크라던지 정보를 잃어버리면
발동 키워드를 잃어버릴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다행히도 대부분의 로라에는 트리거워드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comfyui에는 그것을 불러와주는 커스텀노드가 존재한다. (webui도 당연히 있다)
https://github.com/54rt1n/ComfyUI-DareMerge
GitHub - 54rt1n/ComfyUI-DareMerge: ComfyUI powertools for SD1.5 and SDXL model merging
ComfyUI powertools for SD1.5 and SDXL model merging - 54rt1n/ComfyUI-DareMerge
github.com
단순하게 본노드랑 결과보여주는 노드만 있으면 이렇게
태그 정보를 볼수 있다. 빈도수로 표시해주는데 가장 높은 빈도의 단어가
보통 트리거 워드이다. 위의 경우 `ax1n13` 이 이 로라의 트리거 워드이다
만약 이 정보가 아니였으면 이로라는 발동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또한 로라를 제작할때의 상세스텟도 볼 수 있다
훈련이미지의 갯수, 해상도, 몇번 훈련했는지 등등 다양한 정보가 나온다
"ss_dataset_dirs": "{\"6_Inoue Takehiko\": {\"n_repeats\": 6, \"img_count\": 185}}"
예를들면 위의 로라의 경우 185장의 이미지로 훈련되었다
어떤 로라의 경우는
"ss_dataset_dirs": "{\"25_Ai-Amatsu\": {\"n_repeats\": 25, \"img_count\": 4}}"
놀랍게도 꼴랑 이미지 4장으로 훈련된 것도 있다
자신의 로라가 어떻게 해도 결과가 이상하다면 이걸 확인해보면 된다.
이걸로 좋은 로라와 그렇지 않은 로라를 판별할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적은 훈련자료로 훈련한 로라는 그냥 삭제하는게 낫다
'ComfyU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토샵 Firefly AI생성 유료플랜 시작 (0) | 2025.06.17 |
---|---|
wan2.1 업스케일과 토파즈ai를 비교 (0) | 2025.04.25 |
프롬프트와 토큰, 텐서, 임베딩 개념 (0) | 2025.02.19 |
CFG의 개념과 원리 (0) | 2025.02.17 |
프롬프트의 기본 1 - CLIP 上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