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롬프트 컨디션(Conditioning) 이란?

프롬프트 컨디셔닝이란 프롬프트를 작성했을시 clip인코더에 의해

AI(스테이블디퓨전)이 알아듣도록 번역된(조건화된) 상태를 얘기한다

 

conditioning

위의 comfyui의 기본적인 프롬프트 노드에서 텍스트를 입력하면

왼쪽에서 지원되는 clip을 사용해서 번역 CONDITIONING이라는 결과로 출력하게 된다

즉, 왼쪽엔 번역기 연결하고 텍스트란에 원하는 프롬프트 적고

출력으로 AI가 알아들을 수 있는 번역된 것이 나간다는 얘기다

 

이 clip이라는 번역기는 따로 불러올수도 있지만

보통 모델(체크포인트)와 함께 붙어서 나오기에

이와 같이 Load Checkpoint 노드에서 바로 노란색 단자를 빼서 사용하면 된다

이때 clip은 왠만하면 다른걸로 변경되지 않는다. 그말은 노란색 단자를 입력으로 하는 모든 노드들이

저거 하나를 공유한다는거다. 그래서 Anything Everywhere 같은 무선 연결노드를 사용해서

clip, 그리고 마찬가지로 모두가 공유하는 vae를 연결하면 이후는 노란색단자와 빨간색 단자는 신경안써도

무선연결

이렇게 무선으로 자동연결되게 된다

 

이렇게 컨디셔닝된 프롬프트는 주황색 단자로 표시되고

이 주황색 단자는 그림을 생성 혹은 수정하는 Ksampler나 detailer등이

중요한 입력으로 받게 된다

그래서 똑같이 text를 쓰지만 그냥 text로 나가는 text 박스와 차별화된다

전자는 그냥 쓴 그대로의 글자가 나가는거고 후자는 번역된 것이 나가는거니까

이차이점을 알면 이제 일반 text를 출력하는 노드가 왜 그자체로 프롬을 사용할 수 없는지 알게될 것이다

'ComfyU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롬프트와 토큰, 텐서, 임베딩 개념  (0) 2025.02.19
CFG의 개념과 원리  (0) 2025.02.17
프롬프트의 기본 1 - CLIP 上  (0) 2025.02.06